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슈퍼코딩
- 주니어에서시니어로
- 프리온보딩
- Weekly회고
- 스파르타코딩클럽 #항해99파트1기 #bootstrap
- wil
- 딥러닝
- 객채
- javascript
- 취업준비 #추석연휴 #꿈
- 인턴교육
- 취업연계
- 오늘공부
- 백엔드
- 메타코드
- 입학시험 #난이도높음
- 프로그래머스
- 개발공부
- programming language
- React
- metacode
- 오블완
- 액세스토큰
- 채소마켓
- 데이터분석
- 이커머스고객이탈예측
- JWT
- 코딩교육
- 티스토리챌린지
- 항해99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JWT (1)
하루를 끝내며 다짐하기
액세스 토큰과 리프레시 토큰, 그리고 로컬 스토리지와 세션 스토리지 차이점
웹 개발을 하다 보면 자주 등장하는 두 가지 개념이 있습니다. 바로 액세스 토큰과 리프레시 토큰, 그리고 로컬 스토리지와 세션 스토리지입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두 가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보겠습니다. 1. 액세스 토큰 vs. 리프레시 토큰 액세스 토큰 (Access Token)- 사용자가 로그인에 성공한 후 발급되는 토큰입니다. - 유효 시간이 짧기 때문에 보안에 유리합니다. - 서버에 API 요청을 보낼 때 인증에 사용됩니다. - 예를 들어, 로그인 후유저 정보에 접근할 때 이 토큰이 필요합니다. 리프레시 토큰 (Refresh Token)- 액세스 토큰이 만료되었을 때 새로운 액세스 토큰을 발급받는 데 사용됩니다. - 유효 기간이 상대적으로 더 길며 서버에 자주 재인..
Things I learned for today
2024. 10. 16. 19:59